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복지 혜택을 받기 위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?
바로 기준 중위소득표입니다.
기초생활수급자, 주거급여, 의료급여, 교육급여 등 다양한 복지 제도는
‘기준 중위소득’에 따라 수급 대상이 달라지기 때문이죠!
✅ 기준 중위소득이란?
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가구의 소득 분포에서 정중앙에 해당하는 소득입니다.
보건복지부는 이를 매년 새롭게 고시하고 있으며, 각종 복지급여와 지원사업의 기준선으로 활용됩니다.
✅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
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5년 기준 중위소득(월 소득 기준)은 다음과 같습니다.
1인 가구 | 2,392,013원 |
2인 가구 | 3,952,000원 |
3인 가구 | 5,064,000원 |
4인 가구 | 6,097,773원 |
5인 가구 | 7,127,000원 |
6인 가구 | 8,145,000원 |
7인 가구 | 9,152,000원 |
8인 가구 | 10,076,000원 |
9인 이상은 1인 증가 시마다 약 92만 원씩 추가됩니다.
✅ 중위소득 활용 분야
기준 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은 복지 서비스의 소득 기준으로 쓰입니다.
- 생계급여: 중위소득 30% 이하
- 의료급여: 중위소득 40% 이하
- 주거급여: 중위소득 45% 이하
- 교육급여: 중위소득 50% 이하
- 청년·노인 일자리 사업
- 에너지 바우처, 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 등
따라서 본인의 가구 인원수에 따른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어떤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소득 산정 시 유의사항
복지 대상자 여부는 단순 월급 외에도
재산의 소득환산액 + 실제 소득을 합산해 판단합니다.
이는 ‘소득인정액’이라고 하며,
기초생활수급자 신청 시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부분입니다.
✅ 중위소득 기준 확인은 어디서?
가장 정확한 정보는 보건복지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
또는 복지로나 보조금 24에서
맞춤형 복지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
마무리
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는
정부 지원금, 지자체 보조금, 아동수당, 육아휴직 장려금까지
모든 정책의 기준선이 됩니다.
지금 바로 우리 집 소득과 비교해 보고,
놓치기 쉬운 복지 혜택까지 꼼꼼히 챙겨보세요!
함께 보면 좋은 글
보조금24 신청방법
혹시 정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보조금 혜택을 알고는 있지만 복잡한 신청 절차 때문에 포기하신 적 있으신가요? 아니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조차 몰라 놓치고 계신 건 아닌가요? 이제
daystar100.com
혜택 알리미 서비스 신청방법
다양한 혜택을 놓치고 계신가요? 혜택 알리미 서비스는 정부나 기업에서 제공하는 각종 혜택과 지원 정보를 빠르게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 하지만 막상 신청하려고 하면 어떻게 신청하
daystar100.com